셰어하우스 세팅, 뭐가 필요하고 얼마나 들까?
셰어하우스 세팅이란?
셰어하우스 세팅은 집을 구한 후 가구와 가전제품, 인테리어 소품 등을 구입해서 적절하게 배치하는 것을 말합니다. 셰어하우스 사업이 다른 주택임대사업과 가장 다른 부분 중 하나라고 할 수 있습니다. 기존 임대업이나 풀옵션 원룸에서 한 단계 더 나아가 인테리어 소품부터 스탠드, 소모품, 가재도구, 인터넷, 정수기 등을 모두 갖추어 입주자들이 몸만 들어와서 생활할 수 있게 하는 것이죠. 셰어하우스의 특징이자 차별점입니다.
가구·가전·소품 리스트 작성하기
현재 우리가 운영하고 있는 셰어하우스 한 곳을 예로 들어보겠습니다. 48평 아파트로 방이 4개이고 총 7명이 거주합니다. 가구·가전제품·소품 비용 등으로 총 500만원 정도가 들었습니다.
아래 표처럼 엑셀 워크시트에 방, 거실, 가전제품, 주방, 주방용품, 화장실, 공용설치 등으로 항목을 나누어 각각 필요한 목록을 작성하면 됩니다.
눈품·손품·발품 필수
셰어하우스를 운영할 때는 투자금을 최대한 적게 들이는 것이 같은 수입으로도 수익률을 높일 수 있습니다. 가구·가전·소품을 싸게 사면 살수록 이익입니다. 같은 제품이라도 판매처에 따라 가격이 천차만별이므로 눈품·손품·발품을 부지런히 팔아야 합니다.다.
직장인이라면 퇴근한 후 틈틈이 인터넷으로 가격비교를 하며 가성비 좋은 제품을 찾아야 합니다. 판매 사이트마다 이벤트도 하고 할인쿠폰을 주기도 하니, 이런 기회를 잘 이용하면 괜찮은 물건을 최저가로 구매할 수도 있습니다.
내 경우 가격 비교 사이트인 에누리 닷컴(www.enuri.com)이나 다나와(www.danawa.com)를 많이 이용합니다.
가전 및 가구 구입 기준
셰어하우스 세팅에서 가전제품이 사람의 몸이라고 한다면, 가구는 사람의 얼굴 같은 느낌입니다.
가전제품은 셰어하우스를 세팅하는 물품 중에서 가장 많은 예산을 차지합니다. 예산을 아끼려고 중고로 사면 구매가격보다 수리비가 더 나올 수도 있습니다. 그러니 오픈마켓, 소셜커머스, 인터넷 쇼핑몰 등을 비교한 후 인지도 있는 브랜드의 신제품을 구매하는 것이 좋습니다.
가전제품은 무조건 가성비가 좋은 게 좋지만, 가구는 셰어하우스를 방문하러 온 사람들에게 첫인상을 좌우하므로 가성비와 아울러 인테리어 효과도 고려하세요.
이 포스트는 『베리블루&지원서원아빠의 똑똑한 부동산 월세부자』에서 발췌, 정리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