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 자기계발/뽑히는 글쓰기
자기소개서 신의 한 수 "OOO 첨삭"
스마트북스
2017. 8. 30. 16:57
자기소개서 신의 한 수 "OOO 첨삭"
우리끼리 잘 썼다고 착각하는 거 아닐까?
‘미디어 산업은 신문과 방송의 경계가 무너지는 등 대변혁을 겪고 있다. 앞으로 10년 뒤 당신은 어떤 모습일지 기술하시오.’라는 자기소개서 기출 문항에 대해 나는 이런 답변을 준비했다.
이 자기소개서를 쓰고 나는 상당히 자신만만했다. NIE와 방송을 연계하겠다는 아이디어가 나름 독창적이고 실현 가능성도 있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생각은 현직자 선배의 첨삭을 받은 후 산산이 조각났다.
대개 신문사에는 NIE를 담당하는 전문 인력이 1~2명 있다. 보통 신문사 공채 출신보다는 이 일을 전문적으로 담당하기 위해 특별 채용하거나, 관련 계열사에서 파견된 직원이라고 한다.
나는 이런 현실을 전혀 몰랐다. 함께 공부했던 스터디 동료도 당연히 알 리가 없었다. 우리끼리 아무리 첨삭을 해도 발견하기 어려운 부분이었다.
하지만 이미 업계에 종사하는 현직자 선배는 업계의 관행을 알고 있었고 바로 지적했다. 공채로 입사해 NIE를 하겠다는 건 주 업무가 아닌 곁가지에 해당하는 업무를 맡겠다는 선언과 다름없다고 했다.
선배의 충고를 듣고 나는 부랴부랴 자기소개서를 전면 수정했다. 그대로 제출했다면 업계 사정을 전혀 모르는 지원자로 비추어졌을 게 분명했다.
대개 신문사에는 NIE를 담당하는 전문 인력이 1~2명 있다. 보통 신문사 공채 출신보다는 이 일을 전문적으로 담당하기 위해 특별 채용하거나, 관련 계열사에서 파견된 직원이라고 한다.
나는 이런 현실을 전혀 몰랐다. 함께 공부했던 스터디 동료도 당연히 알 리가 없었다. 우리끼리 아무리 첨삭을 해도 발견하기 어려운 부분이었다.
하지만 이미 업계에 종사하는 현직자 선배는 업계의 관행을 알고 있었고 바로 지적했다. 공채로 입사해 NIE를 하겠다는 건 주 업무가 아닌 곁가지에 해당하는 업무를 맡겠다는 선언과 다름없다고 했다.
선배의 충고를 듣고 나는 부랴부랴 자기소개서를 전면 수정했다. 그대로 제출했다면 업계 사정을 전혀 모르는 지원자로 비추어졌을 게 분명했다.
현직자 눈에만 보이는 게 있다
‘현직자 첨삭’을 강조하는 건 그들의 눈에만 보이는 무언가가 있기 때문이다. 현직자는 회사 혹은 업계가 고민하고 있는 점이 무엇인지 잘 알고 있다. 회사 홈페이지에 나온 모호한 인재상이 아니라 그 회사가 수년간 뽑아 온 ‘진짜 인재상’도 파악하고 있다.
무엇보다 현직자 첨삭은 ‘비전이나 포부’에 대한 항목에서 빛을 발한다. 업계에 진입해보지 못한 지원자의 비전이나 포부는 뜬구름 잡는 소리인 경우가 많다. 현실성이 없거나, 구체성이 없거나 둘 중 하나다. 이런 부분을 가장 잘 지적해줄 수 있는 건 그 업계에 이미 몸담고 있는 사람이다. 자기소개서 컨설턴트보다 현직자 선배의 첨삭이 더 날카로울 수밖에 없다.
지원하는 회사의 선배라면 더할 나위 없지만, 동종 업계에서 일하고만 있어도 도움을 받을 수 있다. 대부분의 직장인들은 경쟁사 동향에 밝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현직자 첨삭은 ‘비전이나 포부’에 대한 항목에서 빛을 발한다. 업계에 진입해보지 못한 지원자의 비전이나 포부는 뜬구름 잡는 소리인 경우가 많다. 현실성이 없거나, 구체성이 없거나 둘 중 하나다. 이런 부분을 가장 잘 지적해줄 수 있는 건 그 업계에 이미 몸담고 있는 사람이다. 자기소개서 컨설턴트보다 현직자 선배의 첨삭이 더 날카로울 수밖에 없다.
지원하는 회사의 선배라면 더할 나위 없지만, 동종 업계에서 일하고만 있어도 도움을 받을 수 있다. 대부분의 직장인들은 경쟁사 동향에 밝기 때문이다.
필요한 부분 꼭 집어 부탁하라
‘본질’ 을 짚어주는 현직자의 눈
차별화에 대한 강박에 시달리는 지망생의 자기소개서는 때로는 본질을 놓친다. 독특한 형식과 기교만 보이고 정작 ‘지원자’가 보이지 않는 것이다. 이런 점을 가장 정확하게 집어낼 사람이 현직자 선배다. 자기소개서를 다 썼다면 제출 전 현직자의 목소리를 들어보자.
이 포스트는 『뽑히는 글쓰기 : 시험에 통하는 글쓰기 훈련법』에서 발췌, 정리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