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 되는 재테크/주식투자 오늘부터1일

봉 차트는 주식투자의 기본! 봉 차트로 투자심리 읽는 법

스마트북스 2018. 7. 17. 12:26

봉차트는 주식투자의 기본! 봉차트로 투자심리 읽는 법

300년 봉차트가 지금도 건재한 이유

 

주식투자자에게 봉차트는 기본 중의 기본입니다. 어떤 증권사를 이용하더라도, 주가 차트에는 봉차트, 이동평균선(이평선), 거래량, 거래량 이평선이 세팅되어 있습니다. 봉차트는 양초 모양을 닮아서 캔들차트라고도 합니다.
봉차트는 1700년대에 일본의 쌀 선물시장에서 활동한 거상 혼마 무네히사(本間宗久, 1717~1803)가 창안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그는 일본인들에게 거래의 신’, ‘상인의 하늘이라고도 불립니다. 혼마 무네히사는 쌀거래로 엄청난 부를 쌓았는데, 이때 하루 동안의 가격변동을 도표화한 것이 봉차트의 원형입니다.
300년의 역사를 가진 봉차트는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차트 중 하나입니다.
봉차트에는 투자자들의 수익에 대한 욕심과 손실에 대한 공포가 반영되어 있습니다. 300여년 전 일본인이나 1900년 초반의 미국인이나 현재의 한국인이나 이러한 심리는 같습니다. 그래서 봉차트는 지금도, 그리고 미래에도 유용한 주가 분석 도구입니다.
봉차트를 이해할 때는 단순히 형태만 보지 않고, 봉이 보여주는 투자자들의 심리 상태에 주목해야 핵심에 다가설 수 있습니다. 또 주가의 움직임이 시장가로만 움직인다는 점을 기억해야 합니다    

봉의 구조 : 양봉과 음봉

봉이 시작하는 가격을 시가’, 끝나는 가격을 종가’, 그리고 가장 높은 가격을 고가’, 가장 낮은 가격을 저가로 표시합니다. ‘시가는 장이 처음 열렸을 때 형성된 가격이며, ‘종가는 장이 끝날 때 마지막으로 형성된 가격입니다.
시가보다 종가가 높게 마감하는 경우, 즉 주가가 시가보다 오른 날의 경우 시가와 종가 사이를 빨간색으로 표시하며 양봉이라고 합니다.
반면
시가보다 종가가 낮게 마감하는 경우, 즉 주가가 내린 날의 경우에는 시가와 종가 사이를 파란색으로 표시하며 음봉이라고 합니다.
일본도 우리나라처럼 상승 시에는 빨간색, 하락 시에는 파란색으로 표시합니다. 미국은 상승 시에는 녹색(또는 흰색), 하락 시에는 빨간색(또는 검은색)입니다.

종가가 시가보다 오르지도 내리지도 않은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형태를 보입니다.
시가와 종가가 같을 때
시가, 고가, 저가, 종가가 모두 같을 때
시가, 종가, 저가가 같을 때
시가, 종가, 고가가 같을 때

1. 시가와 종가가 같을 때 / 2.시가, 고가, 저가, 종가가 모두 같을 때
3. 시가, 종가, 저가가 같을 때 / 4. 시가, 종가, 고가가 같을 때

봉 차트의 장점과 종류

주식시장에서 일반적으로 많이 쓰는 차트로는 종가선차트, 바차트, 봉차트가 있습니다.
종가선차트는 종가만 연결해서 모양이 단순합니다. 추세를 보는 데 편리하지만 하루 중의 변동성을 보여주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바차트는 미국에서 많이 사용하는데 저가, 고가, 종가만 표시하여 가격 변동이 한눈에 들어오지 않습니다.
반면,
봉차트는 시가, 고가, 저가, 종가가 한눈에 들어옵니다 종가가 시가에 대비하여 상승한 날은 빨간색, 하락한 날은 파란색으로 그립니다. 따라서 하루 중 가격 변동을 보기 편리하며, 오늘 주가가 상승으로 마감했는지 하락으로 마감했는지도 한눈에 알 수 있습니다.

1. 종가선차트 / 2. 바차트 / 3. 봉차트

봉은 작성기간에 따라 일봉, 주봉, 월봉이 있습니다. 일봉은 봉 하나로 하루의 주가 흐름과 종가를 보여주며, 주식투자자들이 가장 많이 사용합니다. ‘주봉은 일주일, ‘월봉은 한 달 동안의 흐름을 보여줍니다. 주봉과 월봉은 1, 3, 10년 등 중장기적인 주가 흐름을 볼 때 사용합니다.

양봉이 나타날 때 투자 심리

1. 장이 열리고 시가가 형성된 후, 주가 상승을 기대하는 시장가 매수가 계속 유입되는 경우 양봉이 나타납니다. 아래는 A주식의 주식 매매 체결 상황입니다. 이 상태에서 시장가 매수세가 계속 유입되면 호가 15,850원부터 빠르게 소진되면서 점점 주가가 올라가게 됩니다.
2.
내일도 주가가 상승할 것으로 기대하면, 마감 동시호가까지 시장가 매수가 계속 유입됩니다.
3. 이 경우,
다음날의 주가는 보통 전일 양봉의 종가 근처에서 형성됩니다.

위꼬리가 말해주는 것

1. 장이 열린 후 주가가 크게 오를 것으로 생각한 투자자들로 인해 주가가 강하게 상승합니다. 하지만 생각보다 시장가 매수가 많지 않아 주가가 고가를 찍은 후 장 중에 떨어집니다. 하지만 주가가 전날의 종가보다 떨어지지는 않고, 시가=저가의 상태로 마무리되어 양봉으로 끝난 경우입니다.
2.
위꼬리에 형성된 거래량으로 투자자들의 불안감 크기를 알 수 있습니다. 이를테면 위꼬리가 길고 거래량이 많을수록 투자자들의 불안감이 큰 것입니다.
3. 이 경우
다음날의 주가는 위꼬리 아래에서 형성됩니다.
 

음봉이 나타날 때 투자 심리

1. 장이 열리고 시가가 형성된 후 주가가 계속 하락하자, 투자자들이 불안감으로 시장가 매도가 계속 유입되는 경우입니다.
2. 종가가 깨끗하게 마감되는 경우, 내일도 주가가 하락할 것이라는 부담감으로 인해 마감 동시호가까지 시장가 매도세가 유입됩니다.
3. 이 경우
다음날의 주가는 전일 음봉의 종가 아래에서 형성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아래꼬리가 말해주는 것

1. 장이 열린 후 오늘 주가가 크게 떨어질 것으로 본 투자자들의 시장가 매도세가 강하게 유입됩니다. 이로 인해 주가가 꽤 떨어집니다. 하지만 이들의 예상과 달리, 시장가 매수세가 유입되면서 가격이 회복되며 시가에서 장이 마감되는 경우입니다. 이런 경우 아래꼬리가 만들어집니다.
2.
아래꼬리에 형성된 거래량으로 투자자들이 가진 상실감의 크기를 알수 있습니다. 아래꼬리가 길고 거래량이 많을수록 상실감이 큰 것입니다.
3. 이 경우
다음날의 주가는 아래꼬리 위에서 형성됩니다.
 

이 포스트는 주식투자 오늘부터1에서 발췌, 정리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