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 되는 재테크/모르면 손해 생활재테크 팁
공모주 청약시 3가지 리스크 관리법
스마트북스
2016. 10. 4. 15:59
공모주 청약시 3가지 리스크 관리법
청약 경쟁률이 낮은 종목은 청약하지 않는다
공모주를 계획보다 많이 배정받지 않는 법
만일 청약 후 공모주를 원하는 금액 이상으로 배정받았다고 해 보자.
상장 후 주가가 공모가 이하로 하락하게 되면 손실이 감수할 수 있는 수준을 넘어설 수 있다. 이런 리스크를 예방하기 위한 방법을 알아보자.
먼저 배정받고 싶은 최대 금액을 정한다
예를 들어 투자원금이 1,000만원이라면, 청약 신청 전에 배정받고 싶은 금액을 100만원으로 할지, 10만원으로 할지 정하는 것이 좋다. 리스크 관리를 위해 목표 배정 금액은 투자원금의 10%(청약금의 5%)를 넘기지 않는 것이 좋다.
청약 경쟁률이 낮으면 청약금액을 줄인다
청약 경쟁률이 낮아 배정 금액이 원하는 수준을 넘어설 것 같으면 청약금액을 줄여라. 예를 들어 청약금 1,000만원을 투입해서 100만원을 배정받고 싶은데, 최종 경쟁률이 5대 1에 그쳐 200만원을 받을 것 같으면, 청약 증거금을 500만원으로 줄여야 한다.
청약 경쟁률이 일정 수준 이상이면 기다리지 말고 바로 청약!
높은 경쟁률로 상장되었으나 결과가 나쁘면 주의!
다만 청약 경쟁률이 300대 1 이상이었는데도 불구하고, 상장 후 시초가가 공모가 이하로 형성되는 사례가 연속해서 나오면, 공모주 시장의 질이 나빠졌다는 증거이다. 이런 경우에는 다음 번 공모주 청약은 보수적으로 접근해야 한다.
이 포스트는 『나는 오피스텔보다 공모주가 좋다』에서 발췌, 정리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