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대용 주택 인테리어를 할 때는 비용 문제를 생각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투자 대비 수익률을 감안하여 비용을 줄여야 하니까요. 그러니 필요한 부분은 확실하게 수리하거나 교체하고, 싱크대나 도배, 장판, 욕실 제품 등은 상황에 맞게 개별 선택을 합니다.
임대용 주택 인테리어의 규모는 월세냐, 전세냐에 따라 그 범위가 달라집니다. 월세 임대시 도배, 장판을 시공하고 싱크대는 인테리어필름을 붙여 리폼하고 욕실을 조금 손보는 정도가 보통입니다. 딱히 정해진 금액은 없지만, 18평 아파트 기준으로 400만~700만원을 들여 공사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18평 아파트에 700만원 정도를 들여 인테리어를 할 경우, 그 품목은 도배와 장판 시공, 페인트 작업, 싱크대 및 신발장 수리 또는 교체, 욕실 공사, 타일 시공, 조명과 스위치/콘센트 교체 등으로 구성됩니다. 이 구성으로도 1500만원 이상의 효과를 내는 것이 임대용 주택 인테리어의 핵심이기도 합니다.
• 철거(천장 몰딩, 걸레받이, 조명, 장판, 빨래건조대, 버티컬, 싱크대, 욕실 등)
• 수도배관 작업(누수 보수), 욕실(욕조 자리) 방수 공사 및 젠다이 시공
• 문상 작업, 욕실문 교체(예림 제품), 천장 몰딩 및 걸레받이 시공
• 욕실, 주방, 발코니, 현관 타일 시공
• 발코니 페인트 도장
• 인테리어필름 작업(새시 내창, 문선/문, 신발장, 세탁기장)
• 스위치/콘센트 교체, 욕실 젠다이에 인조 대리석 선반 시공 및 세면기, 양변기, 수전, 액세서리 설치, 욕실 천장 돔 시공
• 광폭합지(부직포 시공 포함, LG 제품) 도배, 장판 시공
• 조명, 싱크대, 발코니 창고장, 신발장, 빨래건조대, 말발 굽, 현관걸이 등 설치
• 공정 마감 확인
고양시 행신동의 평범한 소형 아파트입니다. 이 아파트 단지에는 실거주자가 많고 전세나 월세를 살더라도 오래 사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나는 임대용 주택 인테리어 시장에서도 퀄리티라는 걸 보여주고 싶었습니다. 집주인이 고민하는 누수 및 수도 설비 문제도 해결했습니다. 안방과 발코니 사이의 벽 속에 있는 수도배관이 노후되어 누수가 되었는데, 벽을 까고 배관을 수리해 주었습니다. 집주인은 이전에 일을 의뢰한 설비 업체도 못 잡은 거라며 고마워하더군요.
이 집 공사에서 인상 깊었던 것은, 이사 들어올 임차인이 집주인보다 시공 현장을 더 많이 다녀갔다는 겁니다. 사람들이 자신이 살 집의 인테리어에 관심이 높다는 방증입니다.
심플하고 깔끔하게, 트렌드 반영
이 집 인테리어 공사에서 주목할 부분은 이렇습니다.
첫째, 양각으로 튀어나와 있는 문의 디자인 문양을 다 떼어내고 인테리어필름을 시공했습니다. 트렌드에 맞게 심플한 인테리어를 하기 위해서였습니다. 문에 어울리게끔 문선 작업도 새로 했습니다. 문을 교체한 것이 아니라 비용이 절약되었습니다. 거실과 각 방의 벽면에는 몰딩을 둘렀습니다.
다섯째, 욕실은 욕조 자리에 방수 시공을 하고 젠다이를 설치했습니다.
욕실 공사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이루어졌습니다.
• 천장 몰딩, 양변기, 세면기, 수전, 거울, 욕조 등 철거
• 욕조 자리 방수, 젠다이 시공
• 타일 시공
• 세면기, 양변기, 수전, 샤워기, 젠다이 선반 등 설치
• 천장 평면 돔 설치
욕실 벽면은 그레이 색상 타일을, 바닥은 진한 그레이 색상 타일을 시공했습니다.
욕실이나 싱크대 수전은 물론 문손잡이 하나도 가격 대비 질 좋은 상품으로 선택하여 교체했고, 주변과 조화를 이루게 또는 포인트가 되게끔 했습니다.
인테리어 공사는 10일 정도 걸렸으며 비용은 830만원이 나왔습니다. 집주인은 물론 임차인도 다 만족스러워 한 공사였습니다.
• 철거(욕실, 싱크대, 신발장, 조명 등), 장판 수거
• 욕실 미장 공사 및 방수 작업
• 욕실, 발코니, 현관, 주방 타일 시공
• 페인트 도장(천장 몰딩, 문, 문선, 발코니 등)
• 광폭합지(부직포 포함, 신한 제품) 도배, 장판(1.8T, 한화 제품)
• 욕실 세면기, 양변기, 수전, 액세서리 설치 및 천장 돔 시 공, 스위치/콘센트, 조명 시공
• 선반, 신발장, 싱크대 등 설치
• 공정 마감 확인
연령이 23년 정도 된 주공아파트입니다.
이 집 인테리어 공사에서 핵심적인 부분은 이렇습니다.
첫 번째, UBR욕실을 얼마나 탄탄하고 예쁘게 변화시키느냐가 중요했습니다.
두 번째, 결로 제거가 중요했습니다. 복도식 아파트이고 현관 입구 쪽에 세탁실이 있었는데, 복도 쪽에서 찬바람이 많이 들어와서, 세탁실 건너편에 있는 작은방의 창호 아래에 결로가 특히 많았습니다.
세 번째, 냉장고를 놓을 곳이 마땅치 않는 주방 공간을 잘 바꾸어야 했습니다.
그래서 이렇게 인테리어를 진행했습니다.
욕실은 철거 후에 보니, 배관이 나란히 있지 않아서 세면기와 양변기 등을 일자로 배치하기 위해 배관 이동 작업도 병행했으며, 미장 공사와 함께 방수 작업, 타일 시공도 새로 했습니다. 반다리 세면기, 투피스형 변기를 설치하였고, 거울 문을 장착한 수납장인 댐핑슬라이드장을 넣어 고급스러운 이미지를 주었습니다. 또 현관부터 거실로 이어진 공간에 자리한 주방은 싱크대 쪽에 냉장고 장을 따로 만들었습니다.
방과 거실 벽면은 광폭합지로 도배했고, 바닥에는 장판을 깔았으며, 바닥과 맞닿는 벽면 하단에 걸레받이를 시공했습니다. 천장 몰딩, 걸레받이, 문틀, 문, 발코니 벽 등은 백색 반무광 페인트를 칠하여 중후하고 고급스러운 이미지를 주었습니다. 집주인은 비용 절감을 위해 조명과 스위치, 콘센트 등을 직접 설치했는데 이 부분도 일부 도와주었습니다.
총 인테리어 공사 기간은 10일 정도 걸렸고 비용은 780만원이 나왔습니다.
이 포스트는 『독일병정의 월세 더 받는 똑똑한 부동산 인테리어』에서 발췌, 정리한 것입니다.
셀프 인테리어 디자인 순서 똑똑하게 정하는 법 (0) | 2018.04.16 |
---|---|
인테리어 공사 시작 전에 알아두면 좋은 5가지 (0) | 2018.04.13 |
집 사기 전 이것만은 꼭 확인하세요! (0) | 2018.04.12 |
나도 셀프인테리어 해볼까? 셀프인테리어 꿀팁 (0) | 2018.04.11 |
알아두면 쓸모 있는 공간별 조명 인테리어 트렌드 (0) | 2018.04.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