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왜 마트 계산대엔 껌과 사탕이 있을까?

본문

왜 마트 계산대엔 껌과 사탕이 있을까?

수요의 가격 탄력성이란?

 

명품양복은 가격이 크게 올라도 우리 일상생활에 큰 변화가 없지만, 석유 등의 필수품들은 가격이 오르면 일상생활의 풍속도를 크게 바꾸어 놓기도 합니다.
수요의 가격 탄력성은 가격의 변화율에 대한 수요량의 변화율입니다.
휘발유 가격이 리터당 2,000원에서 1,900원으로 내리자 수요가 40리터에서 41리터로 늘었다고 해 봅시다. 수요의 가격 탄력성을 구하는 공식은 이렇습니다.
 

휘발유 수요의 가격 탄력성은 0.5로 가격이 1만큼 내리면 수요량이 0.5만큼 늘어난다는 겁니다. 가격의 변화폭보다 수요량의 변화폭이 더 크면 탄력적이고 그보다 작으면 비탄력적이죠.
 

사치품은 탄력적, 필수품은 비탄력적

평소에는 비싸서 구입하지 않다가 파격세일을 하면 수요가 확 늘어나는 모피코트, 남성정장, 헬스기구, 고급 승용차 등 주로 백화점 바겐세일 전단지 앞쪽에 실리는 사치품들은 수요의 가격 탄력성이 큽니다. 반면 필수품은 수요의 가격 탄력성이 비탄력적입니다. , 배추, 콩나물 등 우리 밥상에 늘 올라오는 것들은 가격이 올라도 어쩔 수 없이 사 먹어야 하는 것이니까요.
사치품은 살아가는 데 꼭 소비하지 않아도 되는 것, 필수품은 사람이 살아가는 데 꼭 필요한 물품으로 쌀이나 배추 등을 말합니다. 그래서 가격이 비싸도 집은 필수품이고, 가격이 천원이라도 콜라는 엄밀한 의미에서는 사치품인 거죠.     
    

대체재가 있으면 탄력적!

대체재가 있는 상품은 수요의 가격 탄력성이 탄력적이고 대체재가 없는 상품은 비탄력적입니다. 자장면 값이 50%가 올라 8천원이 넘으면 그냥 백반 사 먹으면 됩니다. 조류독감이 유행하면 닭고기 대신 대체재인 돼지고기를 먹으면 되죠. 그러므로 대체재가 있는 상품은 가격이 크게 오르면 수요가 팍 줄어들어 수요의 가격 탄력성이 큽니다. 반면 휘발유는 가격이 10% 올라도 자동차 운전자들은 어쩔 수 없이 휘발유를 넣을 수밖에 없습니다. 이처럼 대체재가 없는 상품은 수요의 가격 탄력성이 작습니다.

수요의 가격 탄력성은 일상생활과 관련이 깊고 기업경영에서도 매우 중요한 경제학적 개념입니다. 예를 들어 광필이가 강남지역의 주유소 사장이라면 고객층이 가격에 덜 민감하므로 수요의 가격 탄력성이 작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래서 굳이 휘발유를 리터당 40,50원 싸게 파는 가격경쟁을 하기보다는 다양한 서비스를 개발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반면 중산층이나 서민층이 많은 지역의 주유소 사장이라면 서비스 개발보다는 다른 주유소보다 40원이라도 싸게 팔아 가격경쟁을 하는 것이 유리할 겁니다.
     

마트 계산대에 껌이 있는 이유는?

자 그렇다면 마트에서 필수품은 어디에 배치할까요? 맞습니다. 가장 안쪽입니다. 가장 앞쪽에는 와인 등 수요의 가격 탄력성이 큰 상품을 진열합니다. 1년 내내 세일하는 품목도 여기 있죠. 여기를 지나면 라면을 5개씩 묶고 거기에 라면 하나를 더 얹어주는 제품들이 있습니다. 고객들이 탄력의 숲을 지나 비탄력적인 필수품 코너까지 이동하면서 최대한의 매출을 올리는 것입니다. 그럼 계산대 옆에 진열해 두는 건 어떤 제품일까요? 수요가 가장 탄력적인 기호품입니다. 어느 마트를 가든 껌이나 막대 사탕이 계산대 근처에 있는 이유입니다  

공급의 가격 탄력성이란?

공급의 가격 탄력성은 가격의 변화율에 대한 공급량의 변화율입니다.
광필이는 사과가 한 박스에 2만원일 때 100박스를 시장에 공급했는데, 명절을 앞두고 박스당 3만원으로 오르자 120박스를 공급했다고 칩시다. 사과 공급의 가격 탄력성은 얼마일까요?
 

사과 공급의 가격 탄력성은 0.4로 가격이 1만큼 오르면 공급량이 0.4만큼 늘어납니다.
·노트북·볼펜 등의 공산품들은 가격이 오르면 공급량을 늘리기가 쉬워 공급의 가격 탄력성이 큽니다. 반면 쌀·배추·사과·소고기 등의 농축산물, 석유··구리 등의 원자재는 공급의 가격 탄력성이 작습니다. 가격이 오른다고 금방 공급을 늘릴 수 있는 제품이 아니니까요.
그런데 공급의 가격 탄력성이 작은 제품들 중에서 서민경제에 직결된 생필품들은 수요에 비해 공급이 부족할 경우 가격이 급등할 수 있습니다. 석유나 배추 등은 모두 공급도 비탄력적이고 수요도 비탄력적인 상품입니다. 휘발유나 배추 가격이 오른다고 수요가 왕창 줄지 않습니다. 반대로 가격이 오른다고 이들 상품을 한꺼번에 왕창 공급할 수도 없습니다. 그래서 정부에서 수요와 공급, 가격을 모니터링하고 직접 가격이나 수급을 관리하기도 합니다    

이 포스트는 최진기의 경제상식 오늘부터1일에서 발췌, 재정리한 것입니다.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