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서울 부동산은 언제까지 안전자산일까?

본문

서울 부동산은 언제까지 안전자산일까?

서울 집값 현재도 상승중

 

서울 부동산은 평당가 2500만원 시대에 들어섰습니다. 현재 서울 강남의 평균 집값이 20평 기준으로 10억원 정도라면 다른 지역들은 얼마나 더 오를 것이며, 서울에서 저평가된 곳은 어디일까요? 서울이 쭉쭉 오르면 수도권도 같이 오를까요?
2018131일 기준으로 서울의 지역별 평균 평당가는 다음과 같습니다    

서울의 평당 매매가와 함께 전세가를 살펴보면, 마포구는 경쟁력이 있어 보입니다. 마포구 공덕동 역세권과 한강 조망권이거나 강남으로의 접근성이 뛰어나고 학군과 일자리가 모여 있는 여의도, 용산, 성동구 등은 강남 다음으로 기대되는 곳이니 만큼 눈여겨볼 만합니다. 강서구의 평균 평당가도 많이 올랐는데, 이는 마곡지구 개발과 신축 아파트 입주의 영향인 듯합니다. 현재 상황으로 볼 때는 마곡지구의 집값은 더 올라갈 것으로 보입니다.
지난해 서울은 불패 강남 신화를 만들어내면서 주택 가격이 고공행진했고 지방은 전체적으로 하락했습니다. 20171129일 정부의 주거복지로드맵 발표 후
경기, 인천의 부동산 시장은 잠잠한 편입니다. 분양권 시장도 조용하고 일단은 2018년 상반기를 지켜보자는 입장이죠. 어쨌든 2017~2018년 수도권 아파트 공급량은 상당합니다. 그렇다면 지역에 따라 차이는 있겠지만 그 가격이 큰 폭으로 상승하지는 않을 것입니다. GTX 등 교통 호재로 동탄, 파주 등은 시세가 더 상승할 것으로 보이기에 적당한 곳을 찾아 매수를 해도 좋을 듯합니다    

서울의 아파트 거래는 꾸준하다

지난 1년간 서울 및 주요 도시의 아파트 매매 증감률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201782일 정부의 부동산 대책 발표 이후 지속적으로 부동산 규제가 강화되었고, 그에 따라 시장은 보합, 하락, 상승을 오가며 혼란 속에 있습니다. 부동산 세금 정책, 대출 조건, 분양권 조건의 강화로 서울에 똘똘한 한 채를 마련하자’, ‘교통 호재가 있는 아파트가 우선이다등의 주장에 따라 사람들은 매수에 더 신중해졌고 지역별로 매매 증감률의 양극화 현상을 보이기 시작했습니다. 그리고 20181월 현재 서울은 매매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서울의 아파트 거래량이 살아난 데는 여러 요인이 있겠지만, 그중에서도
강남을 중심으로 재건축 호재가 투자자, 실거주자 모두에게 여전히 매력적인 요소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가장 무서운 것은 심리입니다. 통계에 기반한 분석과 예측도 때로는 사람들의 심리 변화에 따라 무참하게 깨집니다. 강력한 부동산 규제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이 서울은 안전자산일 뿐만 아니라 재건축사업으로 단기적으로도 집값이 상승할 것이라고 믿는 이상 그 가치는 계속 올라갈 것입니다

잘 아는 지역을 중심으로 찾아라

사람들이 말하길, 서울의 20평대 아파트가 10억원에서 20억원 될 날이 얼마 안 남았다고 합니다. 정말 그럴까요? 10억원에서 20억원이 될 날이 얼마 안 남았다고 무작정 쫓아가다 낭패를 볼 수 있습니다. 과연 그게 몇 년에 걸쳐 그렇게 될지도 모르고 서울이라고는 해도 지역에 따라 현재 시세도 다르고 오르는 속도도 다르기 때문입니다.
부동산 투자 방법은 하나가 아닙니다. 물건도 하나만 있는 것이 아닙니다. 서울이 아니더라도 기회는 많습니다. 나 또한 서울이 아닌 인천과 수도권 등에서 실거주 집을 마련하고 투자도 하고 하며 꾸준하게 임대수익과 시세차익을 내고 있습니다. 내가 사는 지역, 잘 아는 지역을 중심으로 해서 차분히 찾아보면 꽤 괜찮은, 나만의 물건을 만나게 될 것입니다. 이때 중요한 것은 입지입니다. 입지가 좋은 곳에 투자하되, 경제며 정책을 살펴 타이밍을 잘 맞춰야 합니다. 결국 부동산 투자는 입지와 타이밍입니다.

이 포스트는 독일병정의 월세 더 받는 똑똑한 부동산 인테리어에서 발췌, 정리한 것입니다.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