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섣부른 조언보다 부드러운 질문이 더 강력한 이유

본문

섣부른 조언보다 부드러운 질문이 더 강력한 이유

대호 씨가 직장을 정리하고 인터넷 관련 사업을 한 지 벌써 3년이 넘었습니다. 그런데 아직까지 별 소득이 없습니다. 대호 씨의 직장상사였던 김 과장은 이제는 돈이 되는 일을 해야 하는 것은 아닌가 싶었다고 하네요.

대호 씨, 이것저것 시도해보는 것도 좋지만 이제 돈이 되는 것도 고려해봐야 할 것 같아요. 이런 상황이 지속되면 대호 씨 아내도 버티기 힘들 거예요.”
과장 님, 저도 알고 있습니다. 급한 김에 대리운전이라도 해볼까 싶었어요. 그런데 그게 답은 아니잖아요. 어떻게든 이 일을 돈이 되는 것으로 연결해보려고 하고 있습니다. 저도 정말 답답합니다.”


김 과장은 아차싶었답니다. 섣부른 조언으로 대호 씨에게 상처를 준 것 같았기 때문입니다.

몰라서 못 하는 게 아니랍니다

 

사람들은 자신이 처한 상황에서 어떻게 해야 하는지 이미 알고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몰라서 하지 못하는 것이 아니라, 남들이 모르는 개인의 사정이나 상황이 안 되어 행동으로 옮기지 못하는 것뿐입니다. 본인이 아니면 그 상황이나 생각을 다 알지 못합니다. 그런데 상대방이 생각해준답시고 대뜸 조언부터 하려고 나서면, 자신의 마음을 몰라주는 것 같아 속이 상합니다.
직접 도와주지 못할 것 같으면 상대방에게 “~해라” “~해봐라는 식의 말은 피해야 합니다. 이런 경우에는 조언보다 질문형으로 말하는 것이 좋습니다.
몇 년 동안 힘쓴 일이 돈이 되지 않으니 속상하겠어요. 올해는 이런 상황에서 벗어나야 할 텐데. 생각하는 방향이나 고민하고 있는 게 있나요?”
속상한 마음을 알아주고, 앞으로 어떻게 할 것인지 묻는 것이 좋습니다. 상대가 이에 대해 답하면 분명 잘해나갈 것이고, 올해는 결실을 얻는 한 해가 될 것이라고 희망과 용기를 주면 됩니다.
거리를 두고 지켜봐 주고 격려해주고 공감해주세요. 잘할 것이라는, 해내고 말 것이라는 믿음이면 충분합니다    

 

참견은 사랑도 믿음도 아무 것도 아닙니다 

대신 해줄 수 있는 게 아니면 기다려야 합니다. 참견하는 것은 사랑도 믿음도 아닙니다. 가까운 관계의 사람에게도 공감을 할 때는 적당한 거리를 유지해야 합니다.
부부나 가족에게 운전이나 운동을 가르쳐줄 때를 떠올려보세요. 왜 못 하냐는 식으로 나무라는 경우가 많습니다.
공감하는 것이 처음에는 힘들고 어색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나로 인해 누군가가 위로를 받고 용기를 얻고 힘을 내는 모습을 보게 된다면, 그것처럼 보람 있는 일도 없을 것입니다. 공감을 통해 격려와 용기를 주는 것은 그 어떤 것보다 가치 있는 일이 될 것입니다.

 이 포스트는 누구나 좋아하는 사람들의 비밀에서 발췌, 정리한 것입니다.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