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테스트] 행복한 부자의 조건, 나의 자존감은 어느 수준일까?

좋은 부모/우리아이 부자습관

by 스마트북스 2018. 12. 28. 17:20

본문

[테스트] 행복한 부자의 조건, 나의 자존감은 어느 수준일까?

혹시 나도 메뚜기 콤플렉스?

영국 UCL대학의 탈리 샤롯 교수는 타임지 칼럼을 통해 인간은 과거를 회상할 때보다 미래를 상상할 때 긍정적인 편향을 가지게 된다라고 했다.
그런데
과거와 현재에 얽매여 미래 대신 지금의 상황만 바라보는 사람들도 많다. 이러한 경향을 메뚜기 콤플렉스라고 한다.
메뚜기 콤플렉스에 묶이면 자신의 자아를 작게 부정적으로 느끼고 시야가 좁아지므로 평생 아무것도 시도하지 못하고 위축되어 살 수도 있다.
적극적 사고방식의 저자인 노먼 빈센트 필 박사는 만일 우리의 머리에 패배감이 떠오르거든 그러한 생각에서 아예 몸을 피하라. 패배를 생각하면 실제에서도 패배당하기 때문에, 오히려 패배는 있을 수 없다는 태도를 보여야 한다라고 말했다.
 

자존감 높이는 법

인간에게는 자신을 성찰하는 능력이 있는데, 자아성찰은 문자 그대로 자신을 되돌아보고 관찰할 수 있는 능력이다. 그리고 자신의 습관과 행동을 점검하는 이런 자아성찰이 자아상의 기반을 형성한다.
또 이러한 자아상을 평가하는 데서 자존감이 생겨난다. 어떠한 가치관과 신념체계를 갖고 있는지에 따라 자신을 판단하는 것도 크게 달라진다.
사람들의 문제는 많은 부분 자신의 이미지를 과소평가하는 데서 온다. 이것을 자기혐오또는 낮은 자존감이라고 한다.
자신에 대해 건강한 태도란 자기혐오가 없는 상태이다.
낮은 자존감을 가졌다 할지라도 얼마든지 극복할 수 있다. 일단 자신의 능력을 인정하는 것에서부터 출발해야 한다. 부족하다고 느끼는 그 시점부터 노력하고 출발하면 얼마든 극복해낼 수 있다.
가난의 열등감은 먼저 가난하다는 것을 인정하고 경제공부를 하며 극복한다. 현재의 가난에 매몰되지 않고 인생의 목표를 정하고 이를 이루기 위해 몰두하는 것이 열등감 극복의 좋은 방법이다. 학벌에 열등감이 있다면 배움의 현장으로 달려가라. 학교를 선택해 진학하거나 독서를 많이 하는 것도 좋다. 그러나 핵심은 학벌이나 현재의 경제 상황 등으로 자신을 평가하지 않고, 자신을 전체적으로 평가하는 것이다.
사람은 자신이 사랑받고 존중받는 존재라는 것을 인식하기 시작하면 누구나 변할 수 있다. 다만 성인이 되어 낮은 자존감에서 벗어나려면 많은 어려움이 있으므로, 어린 시절부터 건강한 자존감을 형성하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
만약 부모라면 아이가 건강한 자아상을 가질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해야 한다.
 

나의 자존감 체크하기

자존감은 우리가 얼마나 자신을 사랑스럽고 가치 있다고 느끼는가를 평가하는 심리 개념이다.
자존감 검사는 자존감의 결여, 혹은 자존감의 감소가 인생과 어떤 관련이 있는지 알아보고, 감소된 자존감을 증진시켜 건강한 자아상을 가질 수 있도록 돕는 자료이다. 다음 설문을 통해 자존감을 점검해보자   


평가방법
1. 각 문항별로 자신이 답한 것을 아래와 같이 계산하여 총점을 낸다.
★ 계산 방법
2, 3, 5, 6, 7, 8, 9, 12, 17, 25, 28, 30번 문항
예로 답한 경우 1점, 아니오로 답한 경우 0점   

1, 4, 10, 11, 13, 14, 15, 16, 18, 19, 20, 21, 22, 23, 24, 26, 27, 29, 31, 32번 문항
예로 답한 경우 0점, 아니오로 답한 경우 1점

계산 예 
설문지 1번 문항에서 란에 표시(V)한 경우 ; 1번의 답안은 아니오이므로 1번의 점수는 0점이다.
설문지 2번 문항에서 란에 표시(V)한 경우 ; 2번의 답안은 이므로 2번의 점수는 1점이 된다.

2. 총점에 따라 자존감의 수위를 가늠할 수 있다.
30점 이상 : 자존감이 아주 높다.
27~29: 자존감이 높은 편이다.
20~26: 자존감이 보통이다.
15~19: 자존감이 낮은 편이다.
14점 이하 : 자존감이 아주 낮다.
   


 행복한 부자의 조건, 높은 자존감

건강한 자존감을 지닌 사람은 자신의 강점과 약점을 모두 정확하게 스스로 평가한다. , 자신의 부적절함도 기꺼이 수용하는 자발성을 지니고 있다. 이것이 건강한 자기 사랑이다.
건강한 자기 사랑은 개인적인 강점을 과장하지 않으며, 자신에게 근본적으로 강점과 약점이 모두 있음을 인식한다.
일반적으로 자신의 가치를 스스로 높이려는 마음을 자존심(自尊心)’이라 하고, 자신의 능력을 믿고 자랑스러워하는 마음을 자긍심(自矜心)’이라고 한다. 또 타인과 비교했을 때 경제적·환경적으로 약간 부족한 부분이 있더라도 자신의 가치에 대해 확신하는 마음을 자부심(自負心)’이라고 한다. 이는 모두 자기 사랑의 한 형태이며,
건강하고 원만한 삶을 위해서는 어떤 형태로든 이러한 자기 존중과 사랑이 기본이 되어야 한다. 자존감이 높은 사람은 긍정적이고 행복하다.

이 포스트는 우리아이 부자습관에서 발췌, 정리한 것입니다.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