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청산금도 양도세 내야 하나요?

본문

서울시 강동구에 재건축 예정인 아파트를 보유하고 있는 M씨는 조합으로부터 청산금 2억원을 받았습니다. 청산금에 대해서도 양도세를 내야 하나요?

청산금, 양도세 과세 대상

재건축으로 인해 추가로 돈을 더 내야 되는 경우도 있지만, 기존주택의 평가액이 일반분양액보다 더 크면 오히려 청산금을 받기도 합니다. 이렇게 청산금을 받는 경우 기존주택을 양도한 것으로 보아 양도세 과세대상입니다. 또한 이 경우 기존주택의 양도로 보기 때문에 기존주택이 1세대 1주택 비과세 대상이면 비과세가 적용되고, 다주택자로서 중과 대상이면 청산금 역시 중과됩니다.
이때 보유기간은 입주권이 확정되는 날 이후에도 철거되지 않고 사실상 주거용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를 주택으로 보아 보유 및 거주 기간에 합산합니다.

완공된 신축 아파트를 팔 때, 재건축 공사기간은 1세대 1주택 비과세 요건의 보유기간에 포함될까요?

공사기간도 보유기간 포함

보유기간 계산할 때는 멸실된 구주택의 보유기간과 공사기간 및 재건축한 신축주택의 보유기간을 모두 합산합니다. 다만 재건축 사업계획에 따라 추가로 청산금을 납부한 경우로서, 새로 취득한 재건축주택의 부수토지가 종전주택의 부수토지보다 늘어난 경우, 그 늘어난 부수토지는 사용검사필증 교부일부터 1세대 1주택 보유기간을 계산해야 합니다.

이 포스트는 이은하 세무사의 부동산 절세 오늘부터1』(2020 최신개정)을 바탕으로 재정리한 것입니다.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