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매가와 전세가 추이를 보면 지난 1~2년간 급격한 상승을 했습니다. 그에 따라 수원은 통화 유동성 대비 매매가와 전세가가 모두 고평가 구간으로 접어들기 시작했습니다.
수원 아파트 경매건수도 감소 추세이고 낙찰가율이 사상 최고 수준이기 때문에, 경매로 접근하는 것은 좋지 않은 상황입니다.
수원의 입주물량은 2021년부터 평균 수준이고 2022년은 하반기에 입주가 몰려 있습니다.
현재는 수요가 워낙 높아서 수급불균형이 심한 상태입니다만, 수요는 언제든 바뀔 수 있음을 염두에 두어야 한합니다.
용인 역시 다른 경기도 도시들과 마찬가지로 최근 상승한 모습입니다. 버블지수를 살펴보면 매매가는 아직 저평가 구간에 있지만 전세가는 이제 고평가 구간으로 들어서고 있습니다.
용인 아파트는 경매로 접근하기도 쉽지 않습니다. 경매건수는 최저 수준이고 낙찰가율이 매우 높습니다.
입주물량은 매우 적어서 2023년은 되어야 평균 정도의 입주물량이 예상됩니다.
수급불균형은 현재 수요가 높아서 지속적인 상승을 예고하고 있습니다.
심리지수는 아쉽게도 수원이나 용인만 따로 통계를 내지 않아 경기도 전체를 보며 가늠해볼 수밖에 없습니다. 경기도의 심리지수는 매수우위 지수가 높고 전세수급 지수도 매우 높아 최근 수요가 급격히 늘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 포스트는 『투자의 재발견』(이고은 지음)에서 발췌 재정리한 것입니다.
미국 배당귀족주 톱 5 분석 (0) | 2021.02.23 |
---|---|
한 눈에 보는 고양 성남 아파트 시장 분석 (0) | 2021.02.22 |
부동산 투자, 통화량에 주목하라 (0) | 2021.02.17 |
매매가 전세가 버블 확인하는 법 (0) | 2021.02.15 |
미국 배당귀족주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 (0) | 2021.0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