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요 측면
자산상품은 크게 보면 주식
, 채권, 부동산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이 투자 상품들의 수익률 역시 장기적으로는 평균에 수렴합니다. 물이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흐르듯, 자금의 흐름도 투자수익률도 결국은 평준화되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채권의 수익률이 주식이나 부동산에 비해 확실히 높다는 시그널이 보인다면, 돈은 채권으로 몰릴 것이고 결국 수익률이 낮아질 것입니다. 만약 부동산의 수익률이 확실히 높다면, 돈이 부동산으로 몰리게 되고 이에 따라 임대수익률이 낮아지게 될 것입니다.이 포스트는 『대한민국 부동산 7가지 질문』에서 발췌, 정리한 것입니다.
부동산 과열일까 아닐까? 전세가율로 파악하는 법 (0) | 2017.07.20 |
---|---|
[팩트체크] 고령화 사회라서 부동산 하락? 가구수 증가로 부동산 상승? 과연 뭐가 맞을까? (0) | 2017.07.19 |
국내 임대차 시장, 거대한 변화가 시작되었다! (0) | 2017.07.12 |
계속 오른 전세가, 앞으로도 오를까? 오른다면 어디까지 오를까? (0) | 2017.07.12 |
부동산 가치를 가늠하는 두 가지 지표 (0) | 2017.07.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