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부모님 빚에 현명하게 대처하는 법

돈 되는 재테크/월급쟁이 부자들

by 스마트북스 2019. 4. 1. 15:50

본문

사례 1. 아버지 은행 빚 때문에 골치 아파요

한지숙 씨(가명, 30)는 직원이 150명인 중소기업에 다닙니다. 학자금 대출을 다 갚고 2년 전부터는 월급의 50%를 저금하는 알뜰한 사람입니다. 그런데 이 날은 얼굴이 매우 어두웠습니다.
머리가 너무 아프고 힘들어서 약속을 취소할까 하다가, ……, 그저께 은행에서 저에게 전화가 왔어요. 아버지가 계속 갚지 않은 빚이 5,000만원이나 있다고요. 사실 우리 아버지가 좀 그렇거든요. 예전에도 카드를 빌려드렸더니 카드를 500만원이나 쓰고 대금을 안 갚아 제가 아르바이트를 해서 갚느라 정말 힘들었어요. 그걸로 끝인 줄 알았는데…….
그동안 은행에서 아버지에게 독촉을 했나본데, 집을 나가셔서 지금은 연락조차 안 돼요. 부모님은 수도권 작은 도시에서 보증금 1,000만원에 월세를 사세요. 어머니는 전화해서 울고 저도 빚을 갚으려니 앞이 캄캄해요.”

부모 빚 대신 갚을 의무 없다

그러나 지숙 씨는 보증을 서준 것이 아니므로 아버지가 살아 있는 한 자식이 빚을 갚아야 할 의무가 없으며, 자식의 소득이나 재산이 압류당할 일도 없습니다.
다만 나중에 아버지가 돌아가신 후, 빚이 재산보다 큰 경우에는 3개월 안에 상속포기나 한정승인을 해야 합니다. 한정승인은 빚을 아버지의 재산 안에서 갚겠다는 것으로, 이 제도를 이용하면 주위 친척들에게 예측하기 어려운 피해가 가는 것을 막을 수 있습니다.
20~30대 사회초년생의 경우 얼떨결에 부모님의 빚을 대신 갚는 경우가 있는데 그러지 않아도 됩니다. 분명한 것은 부모님이 살아 있는 한 절대 자식이 빚을 갚을 의무가 없다는 것입니다. 정히 부모님이 빚을 갚을 수 없다면 개인회생이나 파산 제도를 이용하면 됩니다.
그 은행 담당자가 지숙 씨에게 전화해서 아버지의 빚을 대신 갚는 것이 어떻겠어요?”라고 한 것은 불법 추심 행위에 속합니다. 전화를 계속하면 녹취를 한 후 금융감독원에 신고하면 됩니다.


사례 2. 시부모 주택 융자금 대신 갚아야 할까요?

김지원 씨(가명, 32)는 결혼 1년 된 맞벌이 주부입니다. 남편은 중견회사의 대리이고 지원 씨는 9급 공무원입니다.
결혼 때 양가 부모님 도움을 받지 않았고 20평 아파트를 반전세로 얻어 시작했어요. 둘이 벌면 금방 경제적 기반을 다질 수 있겠다고 생각해서 그리 걱정하지 않았어요. 남편이 결혼 전에 시댁 생활비를 조금 도와드린다기에 그런가 보다 했고요.
그런데 지방에 계시는 시부모님 사는 42평 아파트 융자가 18,000만원이래요. 시가는 3억원쯤 하고요. 아버님 연세가 60세인데 내년이 정년이에요. 달리 가진 돈이 없으시니 당장 생활비부터 걱정이지요. 남편과 아버님은 그 집의 주택담보대출금을 우리 부부가 갚는 게 어떻겠냐고 해요. 어차피 나중에 우리 집이 될 거라면서요. 어떻게 하면 좋을지 모르겠어요.”

형편에 맞지 않는 집 줄이는 게 우선

최근 결혼한 20, 30대에게서 이런 사연을 자주 만나게 됩니다. 50, 60대들이 무리하게 집을 샀다가 은퇴 시기가 닥쳐서 대출을 갚지 못하고 그 부담이 자식들에게 넘어오는 상황입니다.
지원 씨의 경우 시부모님이 현재의 아파트를 팔아서 융자를 갚고 평수가 작은 집으로 이사하는 게 더 나은 선택일 것 같습니다. 나이가 들어 소득이 줄어들거나 없는 상황에서 이자도 부담될 것이고, 융자 원금을 갚는 것은 더 힘들 것이며, 큰 평수의 아파트는 관리비도 많이 나오니까요. 집안마다 사정이 다르니 일률적으로 말하기는 어렵지만, 웬만하면 부모님의 빚을 떠안기보다는 부모님이 아파트를 팔아서 대출금을 없애거나 줄이고, 혹 남는 돈이 있다면 부모님의 노후에 쓰는 것이 더 나은 선택으로 보입니다.

가족이니까 더 신중해야 한다

가족끼리도 경제적으로 한배에 타는 것은 신중하게 고민해야 합니다. 그러다가 온 가족이 빚의 구렁텅이에 빠질 수 있습니다.
냉정하게 말하면 한 사람이 망하더라도 다른 가족이라도 든든하게 삶을 꾸리고 있어야 하다못해 쌀이라도 사주고 병원비라도 도와줄 수 있습니다.

이 포스트는 월급쟁이 부자들(최신 개정판)에서 발췌, 재정리한 것입니다.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