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귀농을 고려하는 이들을 위한 조언

경영 자기계발/나는 돼지농장으로 출근한다

by 스마트북스 2016. 10. 12. 10:40

본문

귀농을 고려하는 이들을 위한 조언

 

귀농, 다 큰 나무를 옮겨 심는 일

누가 나에게 귀농이 무엇인가 묻는다면 삶의 기반을 도시에서 농촌으로 옮기는 것이라고 답할 것이다. 이를테면 도시에서 자라던 나무를 농촌으로 옮겨 심는 셈이다. 봄철 나무를 옮겨 심어보면 어린 나무들은 큰 탈 없이 잘 자란다. 반면에 제법 자란 나무를 옮겨 심으면 그 나무는 꼭 몸살을 한다. 뿌리 내릴 토양이 변하고 기후도 달라지니, 옮겨 심은 나무가 뿌리를 내리고 자리 잡을 동안 세심한 배려가 필요하다. 도시에서 살던 사람이 귀농을 택하는 것은 다 큰 나무를 옮겨 심는 일과 비슷하다. 대부분의 귀농인들은 도시의 직장에서 근무하다가 대안적 삶으로써 농촌과 농업을 택한다. 하지만 도시와 농촌은 엄연히 다른 곳이며 농사짓는 일은 직장생활과 많은 차이가 있다.

여전히, 농촌은 공동체

서로 모르는 사람들이 모여 사는 곳, 남남이 잘 어울려 살 수 있도록 설계된 곳이 도시이다. 싱글족을 포함 대체로 가족 단위로 구성되는 도시 생활은 계약과 거래를 근간으로 이루어진다. 우리나라처럼 도시 인구의 이동이 많은 나라는 드물다. 2~3년이 멀다고 이사를 다니니 도시인의 삶에 지역을 기반으로 한 공동체의 개념은 없다.
농촌의 삶은 정반대이다. 불과 30년 전만 하더라도 대부분의 농촌 마을은 특정 성씨를 가진 사람들이 모여 살았고, 혈연과 공간을 공유하는 공동체가 주된 삶의 방식이었다. 지금도 농촌에 가면 수십 년 함께 살아온 마을 주민들과 그들의 후손들이 관계의 근간을 이룬다.
농촌에서의 경제활동은 여전히 공동체적 특성을 갖는다. 농촌 인구가 줄고 정부의 정책으로 농업은 상당 부분 기계화되었다. 집집마다 경운기는 한 대씩 있지만 콤바인 같은 기계는 아주 고가이다. 이런 고가의 장비들은 마을 이장이나 지도자의 책임 하에 마을에서 함께 사용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가뭄에 논물을 댈 때도 공동체의 상부상조하는 협업은 진가를 발휘한다. 아무리 제 논에 파놓은 관정에서 물이 콸콸 나온다고 하더라도 물길을 혼자 독점하는 법이 없다. 함께 가뭄을 해소하기 위해 다른 논에도 물이 흐를 수 있도록 물길을 터준다.
일 년간 키운 농작물을 출하할 때도 마찬가지다. 일부 농민은 개인적으로 인터넷을 이용한 직거래 판매도 하겠지만, 대부분 농축산물의 유통은 마을의 농협이나 지역과 오랫동안 관계를 맺어온 상인이 담당한다. 지역 농협의 조합장님은 조합원의 투표로 선출하니 어떻게 보면 이 거래의 근간에는 계약보다 인간적인 유대가 우선시된다.

모든 일은 스스로가 기본

요즘 우리 마을에도 도시에서 귀농한 이웃이 한두 가구씩 생겨나고 있다. 산업화가 진행되면서 사람들은 농촌에서 도시로 이동했지만 도시에서 농촌으로 이동했던 적은 없었다. 인간적인 유대와 공동체 개념이 강한 마을에 들어오는 외지인은 반가우면서도 한편으로는 낯설다. 늘 인구가 줄어드는 마을에 새로운 사람이 들어오니 반갑지만, 자칫 마을의 삶의 방식과 갈등을 일으킬까 걱정되기도 한다.
도시의 삶에 익숙한 귀농인 역시 농촌에 오면 낯설기는 마찬가지이다. 도시에서는 이웃과 가족 간에도 개인의 성을 쌓고 산다. 개인주의에 익숙한 귀농인들에게 개인의 성을 넘어서는 농촌 이웃들의 사생활 침해는 당혹스럽다.
일하는 방식도 도시의 삶과 차이가 있다. 도시에서는 회사에서 지정한 특정한 일을 직제중심으로 그 부분만 전문적으로 한다. 그런데 귀농을 하면 소소한 일부터 큰 규모의 일까지, 모든 범위의 일을 스스로 해결해야만 한다.
도시에 살 때는 혼자 일이 감당이 안 될 경우 적절한 누군가를 찾아서 일을 맡기면 되지만, 시골에서는 일을 맡아줄 적절한 사람 찾기도 쉽지 않다. 그래서 출하든 논밭 갈기든 모든 일을 잘해내려면 마을 주민과의 유대 관계 형성이 필수다. 귀농인은 농촌에 도착한 그 순간부터 농촌 생활의 A부터 Z까지 어떤 포지션에서도 능숙한 만능선수가 되어야 한다.

낯섬을 다름으로 받아들여라

농촌에 정착하면 처음에는 이해가 되지 않던 농촌의 관행들이 대부분 어떤 이유가 있음을 깨닫는다. 도시인의 눈으로 볼 때 비합리적인 것들이 정작 농촌의 현실에서 볼 때는 합리적인 경우가 많다.
귀농을 결정했다면 무엇보다
농촌생활에서 겪는 낯섦다름으로 받아들이고 일상생활 소소한 것까지도 농촌 마을에 단단히 뿌리 내리기를 권한다.
물론 익숙해지는 데는 시간이 필요하다. 마을 공동체와 유대의끈을 놓지 않고 농촌의 일상에 깊이 뿌리 내릴 때 비로소 귀농에 성공할 수 있다.

이 포스트는 나는 돼지농장으로 출근한다에서 발췌, 정리한 것입니다.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