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 롤링의 『해리 포터』가 켈트 신화를 기반으로 한 이야기라는 사실을 아시나요?
머글과 마법사들이 공간을 공유하고, 요정 도비가 집사로 활동하고, 목이 달랑달랑한 닉이 마법학교에 출몰합니다. 런던으로 가는 이층버스에는 레게머리를 한 수다쟁이 두개골이 매달려 쉴 새 없이 수다 삼매경에 빠져 있고 학교 화장실에는 모닝 머틀이 울고 있죠. 호그와트 마법학교의 어린 마법사들이 주인공인 <해리 포터> 시리즈는 바로 켈트 신화의 세계관을 그대로 드러내 보여줍니다.
‘투아하 데 다난’으로 불리는 켈트의 신들이 사는 에린 땅에 인간들이 몰려옵니다. 신들과 인간들이 싸워 인간들이 이기자, 켈트의 신들은 자신들의 땅을 인간들에게 내주고 모습을 감추죠. 어떤 전승에선 신들의 몸이 줄어들어 모두 요정이 되었다고도 합니다. 집요정 도비처럼 못생긴 요정도 있고, 피터팬의 친구 팅커벨처럼 아주 작은 요정도 있습니다. 영국의 대문호 셰익스피어의 『한여름 밤의 꿈』에 등장하는 요정 왕 오베론이나 요정 여왕 티타니아도 숲의 요정이죠.
호그와트 마법학교로 가는 기차가 출발하는 9와 3/4 정거장은 보통 사람인 머글들의 역이자, 동시에 마법사들의 기차역이기도 하다. 마법사들과 머글들은 공간을 공유하고 있습니다. 머글들은 마법사들을 알아보지 못하며 9와 3/4 정거장도 머글들에게는 보이지 않습니다. 쉴드를 치고 숨은 요정들과 요정들을 보지 못하는 인간들이라는 설정은 켈트 신화의 공간 개념입니다.
켈트족들의 종교는 드루이드교입니다. 드루이드 사제들의 복장은 『해리포터』의 덤블도어 교장이나 맥고나걸 교수의 이미지를 떠올려 보면 알 수 있습니다. 높고 뾰족한 모자를 쓰고 망토를 걸친 모습이 켈트족들의 교사이자 종교지도자, 의사이기도 했던 존경받는 드루이드 사제들의 모습이죠. 드루이드 사제가 되려면 30년 이상의 수련을 해야 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해리 포터』의 호그와트 마법학교는 드루이드 사제들의 긴 수련 기간을 힌트로 만든 소설 속 가상의 마법학교입니다.
켈트족들은 두개골 숭배가 유난합니다. 켈트인들은 사람의 머리를 복주머니로 여겨 건강과 부, 행운 같은 것들을 가져온다고 믿었죠. 고대 켈트인의 집에는 평생 전쟁에 나가 자신이 죽인 적들의 머리가 걸려 있었다고 합니다. 그런 흔적이 영화 <해리 포터>에서 목이 달랑달랑한 닉이나 마법사 버스에 매달린 레게머리 수다쟁이와 같은 이미지로 등장하는 것이죠.
10월의 마지막 날인 핼러윈 데이에 등장하는 잭오랜턴(Jack-O-lantern)도 켈트인들의 두개골 숭배와 관련 있습니다. 커다란 주황색 호박에 눈, 코, 입 구멍을 뚫어 등불로 사용하는 것인데, 이 관습은 두개골 숭배의 오랜 흔적입니다. 원래 켈트인들의 설날은 11월 1일이라, 10월의 마지막 날 온갖 잡귀들에게 달달한 사탕을 주면서 1년의 액을 막고자 한 것이죠. 괴물이나 유령, 몬스터에게 자신들을 해코지하지 말아 달라고 단 것을 주며 달래는 풍습입니다. 그런 켈트 풍습이 아일랜드인의 대량 이민으로 미국의 풍습이 된 것입니다.
켈트족들과 그들의 노래가 전해지는 곳은 아일랜드와 브리튼 섬, 프랑스 북부의 브르타뉴 지역이지만, 그들의 원래 고향은 아닙니다. 그러면 켈트족은 어디서 온 사람들이었을까요?
켈트족은 기원전 8세기 무렵 독일, 오스트리아 등지에서 철기 문화를 기반으로 한 호전적 전사들의 집단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금속세공에 능해 아름다운 문양의 금속 유물들을 많이 남겼죠. 한때 로마를 점령하고 그리스 델포이까지 진출해서 맹위를 떨쳤지만, 하나의 큰 세력을 만들지 못하면서 발흥하는 게르만족, 융성하는 로마제국으로 인해 그 힘이 점차 약화됩니다. 그래서 멀리 아일랜드와 영국 섬으로 밀려가게 된 것이죠.
켈트 신화는 여러 켈트족들이 아일랜드에 도착하는 과정을 중심으로 서술되어 있습니다. 지금 현재 자신들을 게일인이라고 하는 사람들이 켈트족입니다.
아, 그런데 여기서 하나! 잉글랜드는 켈트족이 아닙니다. 잉글랜드는 오래전 동쪽으로부터 침략한 노르만계 데인족과 앵글로 색슨족이 차지하고 살고 있습니다. 잉글랜드도 예전에는 켈트 땅이었고 원주민인 켈트인들과도 혼혈이 이루어졌을 터이니 전승되는 이야기와 신화들도 영향을 미쳤을 것입니다.
사실 로마제국이 스코틀랜드를 제외한 잉글랜드와 웨일스 지역까지 지배했고, 아일랜드는 로마의 직접적인 지배를 받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스코틀랜드와 아일랜드는 반로마 정서가 지배적이고 잉글랜드와 웨일스 지역은 친로마적 정서를 가졌다고 한습니다. 민족의 구성으로 보면 켈트족은 아일랜드와 스코틀랜드, 영국의 웨일스 지방에 거주합니다.
아일랜드 섬에 켈트인들이 도래하는 신화를 적고 있는 책은 『침략의 서』입니다. 파르홀른, 네메드, 피르볼그와 같은 각기 다른 시기에 아일랜드에 도착하는 켈트족들에 관한 기록이죠.
처음 아일랜드를 밟은 켈트족인 파르홀른은 포보르라는 원주민 세력과 마찰을 일으킵니다. 『침략의 서』에 적혀 있는 포보르들의 모습은 아주 괴이하고 기형이며 야만적인 종족으로 묘사됩니다.
두 번째 도래한 켈트족인 네메드는 자신들 스스로 스키타이 유목민이라고 밝히고 있는 점이 흥미롭습니다. <킹 아더>라는 가장 최근의 고고학적 발견을 바탕으로 하고 있는 영화는 아더 왕을 로마군의 군사령관으로 설정하고, 원탁의 기사 열두 명은 로마제국의 용병으로 15년 차출되어 온, 흑해 연안 스키타이를 멸망시킨 용맹한 사르마트족 소년 기마병들이었다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스키타이 전사라는 네메드족이 원주민 포보르족과의 싸움에서 노예가 되었으나, 10명씩 동쪽의 영국섬, 남쪽의 스페인, 북쪽의 이상한 섬으로 흩어져 갑니다. 영국섬으로 간 사람들이 브리튼 켈트의 시조가 되었고, 남쪽으로 간 사람들은 후에 피르볼그라는 이름으로 아일랜드로 다시 돌아옵니다. 북쪽의 이상한 섬으로 간 사람들은 마법을 익혔고, 다시 아일랜드로 돌아와 원주민 포보르족과 미리 와 있던 피르볼그족과 두 차례의 전쟁을 치루고 나서 켈트의 신족 ‘투아하 데 다난’으로 거듭나죠. 이들이 <해리 포터> 시리즈 마법사들의 선조 마법사들이지 않을까요? 그 후 한참의 시간이 흐른 뒤, 투아하 데 다난 신족은 남쪽에서 바다를 건너 온 밀레족과의 전투에서 패배합니다. 밀레족은 켈트족으로 알려진 현재 게일족의 조상입니다. 그리고 켈트의 신족 투아하 데 다난은 인간에게 자신들의 땅을 내주고 모습을 감추게 되죠. 이들이 정말 모두 요정이 된 것일까요?
요정 왕이자 바다의 신 리르는 사랑하는 세 명의 자식이 있었습니다. 그런데 부인이 죽자 아이들의 이모를 두 번째 부인으로 맞아들이죠. 리르가 아이들만 사랑하자 화가 난 두 번째 부인은 아이들에게 저주를 겁니다. 리르의 자식들은 300년씩 세 번, 그러니까 도합 900년을 백조의 모습으로 세 곳의 바닷가에서 살아야 했죠. 그래서 켈트인들은 신의 자식일지 모르는 백조를 잡지 않는다고 합니다. 바다의 신 리르는 셰익스피어의 『리어 왕』의 모델이기도 합니다. 3이라는 숫자가 자꾸 반복되는 이유는 3이 켈트 문화에서 중요한 신비의 수이기 때문입니다.
투아하 데 다난 신족의 왕 ‘은팔의 누아다’는 세 명의 부인이 있습니다. 모리유, 마하, 네반이라는 세 명의 부인들은 ‘바이브 카흐’라는 이름으로 불리는 삼위일체의 전쟁신입니다. 모리유는 까마귀의 모습으로 전쟁터에 나타나는 여신입니다. 마하는 엄청나게 빠른 속도로 전쟁터를 누비는 여신입니다(마하라는 이름은 지금도 음속을 나타내는 단위로 사용된다). 불길한 붉은 말을 타고 붉은 색 옷을 입고 검을 휘두르는 네반은 공포의 대상이었다고 합니다. 켈트인들은 아직도 붉은색을 불길한 색이라고 여깁니다.
켈트 신화에는 삼위일체 신들이 많이 등장합니다. 공예의 신 콜루는 대장장이 게브네, 청동공예사 크레드네, 목공 루흐다 등 세 명의 신으로 이루어지고 지혜의 신 에크네도 브리안, 유하르, 유하르바라는 세 명의 신을 함께 이르는 말입니다. 이처럼 켈트 신화에는 신비의 숫자 3이 아주 두드러지게 등장하죠.
켈트 문양의 대표적인 무늬도 삼중 매듭 문양이죠. 이러한 삼수 분화의 세계관은 아주 오래된 연원을 갖고 있습니다. 한국인들도 유난히 3을 선호합니다. 켈트의 마법사들은 마법의 지팡이를 휘두르지만, 한국의 무당들은 나뭇가지를 흔들며 굿을 한다. 유라시아 대륙의 이 끝과 저 끝에 존재하지만 서로 통하는 부분이 많은 듯합니다.
이 포스트는 『교실밖 인문학 콘서트』(백상경제연구원) 1장 유럽신화 완전 첫걸음(김윤아)에서 발췌 정리한 것입니다.
헤라는 악처가 되고 아프로디테가 음란한 여신이 된 이유 (0) | 2020.12.08 |
---|---|
<어벤져스: 엔드게임> <반지의 제왕> 전투 장면의 비밀 (0) | 2020.12.01 |
신비롭고 스케일 큰 북유럽 신화의 세계관은 어떨까? (0) | 2020.11.30 |
어벤저스 토르가 북유럽 신이라고? (0) | 2020.11.27 |
『교실밖 인문학 콘서트』출간! (0) | 2020.11.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