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2030 필수통장, 청년우대형 청약저축!

돈 되는 재테크/요니나의 월급쟁이 재테크

by 스마트북스 2021. 1. 5. 15:00

본문

‘주택청약종합저축’은 국민 주택과 민영 주택 등 모든 신규 분양 주택에 청약 신청이 가능해 흔히 ‘만능 청약 통장’이라고 불립니다. 주택청약종합저축은 반드시 가입해야 하는 필수 상품에 가깝습니다.

그런데 2030 사회초년생들이라면 주택청약종합저축보다 더 좋은 상품이 있어요. 기존 주택청약종합저축에서 청약 기능과 혜택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우대 금리와 이자 소득 비과세 혜택을 제공하는 청년우대형 청약저축입니다.

청년우대형 청약저축 자격요건

혜택을 받을 수 있는 가입대상, 소득, 주택 보유에 따라 가입 여부가 달라집니다. 나이는 만 19세 이상 34세 이하(병역 복무 기간 6년 인정)까지만 가입할 수 있어요. 또한 연 소득 3천만 원 이하로 근로소득, 사업소득, 기타소득에서 소득이 발생해야 합니다. 아르바이트, 프리랜서, 일용직 신고소득도 인정됩니다. 무주택 세대주거나 무주택세대 세대원 또는 3년 이내 무주택 세대주 예정자라면 신청할 수 있습니다.(단, 세대주는 3개월 이상 연속 유지해야 함)

3년 내 무주택 세대주 예정자란, 현재는 무주택 세대주가 아니지만 3년 이내 무주택 세대주가 될 예정이라면 가입 가능합니다. 더 쉽게 말하면 현재 부모님 명의 집에서 부모님과 함께 거주하지만, 3년 안으로 독립할 예정이라면 된다는 것이죠. 단, 3년 이내로 무주택 세대주를 증명하지 못할 경우 청년우대 금리 혜택은 받지 못합니다.

우대 금리 및 비과세 혜택

기존 주택청약과 달리 청년우대형은 가입한 지 2년 이상 지나면 최대 10년에 해당하는 이자 소득에 대해 500만 원까지 비과세 적용받을 수 있습니다. 기본 주택청약종합저축은 15.4% 일반과세가 붙어요.

가입 및 기존 청약에서 청년우대형으로 전환하기 위해 필요한 서류는 주민등록등본세대주 증명, 3개월 이내 발급한 서류, 무주택 확인서, 소득확인증명서, 직전년도 소득원천징수영수증으로 은행 및 국세청 홈택스에서 발급 가능합니다. 서류 제출은 온라인이 아닌 직접 창구 방문으로만 가능해요.

단, 청년우대형 청약저축 전환 전에 납부한 금액에 대해서는 우대금리가 적용되지 않습니다.

1순위 자격 조건을 맞출 것

주택청약종합저축 상품은 통장 개설도 중요하지만 1순위 자격 조건에 맞춰놓는 것도 아주 중요합니다. 최근 1순위 조건이 완화되면서 수도권은 12개월 납입, 지방수도권 외은 6개월 이상 꼬박 넣으면 충족됩니다.

또한 주택 종류마다 중요하게 생각해야 할 부분이 다른데, 국민주택은 청약 납입 회차가 중요하고, 민영 주택은 납입 회차에 상관없이 지역별 예치 금액 납입 여부가 중요합니다. 민영 주택뿐 아니라 국민 주택 청약까지 당첨 확률을 높이려면 월 납입 금액을 2만 원이 아닌 10만 원으로 넣는 것이 좋습니다.

 

청약 가산점 잘 받는 세 가지 팁

• 무주택 기간이 길수록

• 부양 가족이 많을수록

• 청약저축 가입 기간이 길수록

소득 공제 혜택

주택청약종합저축과 청년우대형 청약저축은 총급여액이 7천만 원 이하 근로자인 무주택 세대주(세법이 정한 대상자)는 해당 과세 연도 연간 240만 원 한도(한 달에 20만 원씩)의 40%인 96만 원까지 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어요. 초과 금액은 소득 공제가 되지 않으므로 그 이상은 납입하지 않아도 됩니다. 단, 총 급여 7천만 원 이상인 무주택 근로자는 기존 연 120만 원 한도가 유지됩니다. 본인이 무주택자라면 연말까지 가입한 은행에 무주택 세대주를 확인할 수 있는 주민등록등본과 무주택 확인서를 제출해야 소득 공제를 받을 수 있어요.

단순 저축 용도로는 비추

주택청약종합저축이나 청년우대형 청약저축은 시중 일반 적금보다 상대적으로 금리가 높습니다. 그렇다고 목돈 모으기 및 굴리기 용도로는 추천하지 않습니다. 만기가 정해지지 않은 주택청약종합저축을 해지하는 것보다는 차라리 금리가 조금 낮더라도 일반 적금 상품에 돈 모으는 것을 권합니다. 청약 가산점 중에 가입 기간도 중요하니까요. 주택청약종합저축은 이름에 걸맞게 주택 마련을 위한 통장으로 장기간 관리하면서 활용하는 쪽으로 고려해보세요.

이 포스트는 『요니나의 월급쟁이 재테크』(김나연 지음)에서 발췌 정리한 것입니다.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