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사는 꾸준히 잘 되니?
・이익은 잘 나오니?
・수익 배분은 어떤 식으로 할 건데?
・투자금 대비 수익을 얼마나 받을 수 있을까?
・투자금을 몇 년 후에 회수할 수 있을까?
・나중에 투자금 회수가 잘 될까? 혹시 내 지분을 더 비싸게 팔 수 있을까?
주식을 사는 것은 기업 소유권의 일부를 보유하는 것이므로, 투자에 앞서 이러한 내용들을 체크해야 합니다. 다만 주식투자의 세계에서는 뭔가 대단해 보이는 용어나 암호 같은 약자로 되어 있을 뿐 그리 복잡하고 어렵지는 않습니다.
앞에서 한 질문 6개를 2개씩 묶어 보면, 처음의 둘은 수익성에 관한 질문이고, 다음 둘은 수익금의 분배에 관한 질문이며, 마지막 질문들은 투자금 회수에 대한 질문입니다. 이를 실제 주식투자에서 흔히 사용하는 지표에 대응시켜 보겠습니다.
자, 그렇다면 기업의 수익성과 재무건전성은 어떻게 판단하면 좋을지 살펴보겠습니다.
사업보고서의 ‘요약재무정보’ 항목에는 상세한 재무제표가 주석과 함께 기록되어 있습니다. 투자 검토단계에서 요약재무정보를 참고하면 한눈에 재무상황을 파악할 수 있어서 시간을 절약할 수 있죠.
요약재무제표는 기업의 자산구조를 주로 보여주는데, 하단에는 사업의 수익성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배당주 투자자 입장에서 재무구조가 탄탄한 기업의 경우, 수익성 관련 수치를 위주로 확인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A 기업의 사업보고서에서 요약재무정보를 보면 2015년(55기)의 수익성이 2014년(54기)보다 다소 개선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 포스트는 『치과의사 피트씨의 똑똑한 배당주 투자』에서 발췌, 재정리한 것입니다.
배당 수익을 연금처럼, 연금생활자를 위한 배당주 투자법 (0) | 2017.11.23 |
---|---|
주식투자 제대로 하려면 읽어라 : 홍춘욱 이코노미스트 추천 실전주식투자서 3권 (0) | 2017.08.11 |
배당주 투자 알짜 기업 고르는 법 : 경영진 평판과 대주주 지분율을 보라 (0) | 2016.11.09 |
본격 배당주 계절, 배당의 필수 이벤트 4가지 (0) | 2016.10.07 |
대리인 비용, 꼼꼼하게 체크하세요! (0) | 2016.09.22 |